[심리학] 소시오패스란? 사이코패스와 차이점은?
목차 1. 소시오패스라는 말은 어디서 유래되었을까? 2. 소시오패스의 특징은 어떤 것이 있나요? 3. 소시오패스는 유전인가요? 4. 우리 주변에서도 소시오패스를 찾아볼 수 있나요? 5. 소시오패스와 사이코패스는 무엇이 다를까요? |
소시오패스란 반사회적 인격장애증을 앓고 있는 사람을 의미한다. 이들은 자신의 성공을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나쁜 짓을 저지르며, 이에 대해 전혀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는다. 또한 타인에 대한 동정심이 없고, 매우 계산적이다. 그리고 겉으로는 매력적이고 사교적으로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인생에서 아무런 즐거움을 느끼지 못하며, 심한 경우에는 자살을 반복적으로 시도하는 등 충동적인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들을 보이는 정신질환을 우리는 “소시오패스”라고 부른다.
1. 소시오패스라는 말은 어디서 유래되었을까?
소시오패스(sociopath)라는 단어는 사회학 용어로써 ‘반사회성 인격장애’를 뜻하는 말이다. 1938년 미국 정신의학회에서 처음으로 진단기준을 마련하였고 이후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결합되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유년시절 부모로부터 학대를 받은 경험이 있거나 폭력적인 가정환경에서 자란 경우 소시오패스 기질이 나타날 확률이 높다고 한다.
2. 소시오패스 특징은 어떤 것이 있나요?
소시오패스는 겉으로는 매력적이고 사교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목적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무서운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감정조절능력이 뛰어나며 매우 계산적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고도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습니다. 그리고 거짓말을 자주 하며 자기중심적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어서 남들을 이용하려는 경향이 강합니다.
3. 소시오패스는 유전인가요?
많은 전문가들은 소시오패스가 유전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습니다. 다만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부모 모두에게서 소시오패스 성향을 물려받는다면 자녀 역시 소시오패스가 될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따라서 만약 아이가 특정 상황에서 이상행동을 보이거나 공격적인 태도를 보인다면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며 혹시라도 의심된다면 전문의와의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4. 우리 주변에서도 소시오패스를 찾아볼 수 있을까요?
최근 뉴스나 기사등 다양한 매체에서는 사회생활 중 일어나는 범죄들이 자주 보도되고있다. 특히 최근 이슈가 되었던 n 번 방 사건 역시 아동 성착취물을 제작 및 유포한 피의자 조주빈(25)씨가 25세의 젊은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어린 시절부터 이미 심각한 수준의 소시오패스 성향을 보였다는 점에서 많은 충격을 안겨주었다. 실제로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체 인구의 4%가량이 소시오패스라는 결과가 나왔다. 즉, 대한민국 국민중 약 200만 명이 소시오패스인 셈이다. 이렇게 흔하지만 위험한 소시오패스로부터 나를 지키는 방법엔 어떤 것이 있을까?
5. 소시오패스와 사이코패스는 무엇이 다를까요?
소시오패스는 사람들과의 상호작용과 대화에서 느끼는 감정이 부족하거나 거의 없는 상태로, 다른 사람의 감정이나 생각에 대한 이해와 공감능력이 매우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에 사이코패스는 다른 사람의 감정 구조와 사회 규범에 대한 이해와 지식이 충분히 있지만, 다른 사람의 감정과 고통을 무시하고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악의적이고 속임수 있는 행동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즉, 소시오패스는 지각과 감정부족이라는 본성적 한계에 의해 성격이 형성되고, 사이코패스는 지적 능력과 상대방에 대한 이해능력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타인의 감정을 무시하고 이입하지 않는 행동력으로 인해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사실 소시오패스라는 단어 자체가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실제로 주위에서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답니다. 그만큼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는 질병이니 항상 경계해야 한다는 점 잊지 마세요!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 밴드왜건 효과 (0) | 2023.11.09 |
---|---|
[심리학] 가르시아 효과 : 시각적 자극 (0) | 2023.09.15 |
[심리학] 설단현상이란? (0) | 2023.07.15 |
[심리학] 성인 ADHD 증상 / 원인 / 치료법 / 테스트 (0) | 2023.07.08 |
[심리학] 리플리 증후군이란? (0) | 2023.06.26 |
[심리학 도서] '마음의 지혜' 책 리뷰 (0) | 2023.06.22 |
[심리학] 플라시보 효과란? (0) | 2023.06.20 |
[심리학] 방관자 효과 : 제노비스 신드롬 (0) | 2023.06.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