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행복과 만족에 대한 심리학
목차 1. 행복이란 무엇인가요? 2. 왜 현대사회에서 행복해지기 어렵다고 할까요? 3. 어떻게 하면 행복해질 수 있나요? |
우리는 누구나 행복해지기를 바란다. 하지만 자신이 현재 불행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의외로 많다. 왜 그럴까?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간에게는 5가지 욕구가 있다고 한다. 바로 생존욕구, 안전욕구, 소속감 및 애정욕구, 자기 존중욕구, 자아실현욕구이다. 이중에서도 상위 3가지 욕구 즉, 자존감, 성취감, 인정욕구는 개인의 삶의 질 향상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것이 충족될 때 비로소 진정한 행복을 느낄 수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이러한 욕구들을 충족시킬 수 있을까?
1. 행복이란 무엇인가요?
행복이라는 단어는 사전적 의미로는 복된 좋은 운수라는 뜻이지만 실제 생활 속에서의 행복은 주관적인 느낌이기 때문에 정의 내리기 어려운 개념입니다. 그래서 학자들마다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는데요, 대표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궁극적인 목적인 행복을 최고선(最高善)이라 하였고, 칸트는 도덕적 행위의 결과로써 얻어지는 정신상태라고 하였습니다. 이렇게 철학자들 마다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지만 공통점은 ‘인간으로서 마땅히 가져야 하는 바람직한 상태’라는 점입니다.
2. 왜 현대사회에서 행복해지기 어렵다고 할까요?
현대사회는 물질주의 가치관이 만연하면서 돈이면 뭐든지 해결된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경제적 여유가 없으면 삶의 질이 떨어진다는 생각을 하게 되고, 결국엔 스스로 자존감이 낮아져 행복과는 멀어지게 됩니다. 또한 경쟁위주의 교육환경 역시 학생들에게 과도한 스트레스를 유발해 행복지수를 낮추는데 한몫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청소년들은 학업스트레스뿐만 아니라 친구관계나 가족관계에서도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코로나19로 인해 외부활동이 제한되면서 우울증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3. 어떻게 하면 행복해질 수 있을까요?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행복해질 수 있을까요? 먼저 긍정적인 마음가짐을 가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정적인 생각보다는 긍정적인 생각을 많이 할수록 뇌 활동이 활발해져 건강해지고 기분도 좋아지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작은 일이라도 감사함을 느끼고 표현한다면 마음이 편안해지면서 행복해집니다. 마지막으로 주변사람들과의 관계를 돈독히 하여 서로 의지하고 힘이 되어준다면 더욱 행복해지겠죠?
또, 심리학자 매슬로우(Maslow)는 인간의 욕구를 5단계로 구분했는데요. 1단계 생리적 욕구, 2단계 안전욕구, 3단계 소속 및 애정욕구, 4단계 존경욕구, 5단계 자아실현욕구 순으로 높은 단계일수록 충족되었을 때 더욱 큰 행복감을 느낀다고 주장했습니다. 즉, 자신이 원하는 바를 성취했을 때 성취감과 더불어 행복감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죠. 매슬로우의 이론처럼 모든 사람에게는 각자 이루고 싶은 목표가 존재합니다. 그리고 이를 달성했을 때 비로소 행복감을 느끼게 되죠. 따라서 현재 내가 가진 상황보다는 앞으로 나에게 다가올 미래에 대한 기대감만으로도 충분히 행복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당장 눈 앞에 보이는 현실에만 집중한다면 결코 행복해질 수 없습니다. 하루하루 최선을 다해 살다 보면 언젠가 꿈꿨던 모습 그대로 되어있을 거라 믿습니다. 이상으로 행복과 만족도 심리학이었습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 도서]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어' 책 리뷰 (0) | 2023.06.15 |
---|---|
[심리학] 나르시시스트이란? (0) | 2023.06.14 |
[심리학 도서] '도둑맞은 집중력' 책 리뷰 (0) | 2023.06.05 |
[심리학] 다윗과 골리앗 효과 (0) | 2023.06.03 |
[심리학] 인지부조화이란? (0) | 2023.06.01 |
[심리학 도서] <나는 왜 저 인간이 싫을까?> 책 리뷰 (0) | 2023.06.01 |
[심리학] 피터팬 증후군이란? (0) | 2023.05.30 |
[심리학 도서] 다자이 오사무의 '인간실격' (0) | 2023.05.27 |
댓글